회전근개 파열로 인한 어깨통증. 시간 지날수록 악화..
정확한 진단과 조기 치료 중요

어깨는 우리 몸의 관절 중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운동범위는 크지만, 관절을 잡아주는 고정력이 약해 부상에 취약하다.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4개의 힘줄로 어깨의 회전 운동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중 일부가 파열되어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 회전근개 파열이다.
회전근개 파열은 4개의 힘줄이 한꺼번에 끊어지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 일부의 힘줄이 파열되더라도 나머지 세 힘줄이 있기 때문에 팔을 들어 올리거나 움직이는 데 큰 문제가 없지만 파열된 힘줄이 필요로 하는 특정 각도로 움직이거나 힘을 쓸 때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혼동하기 쉬운 질환으로는 오십견이 있다. 오십견은 특별한 이유 없이 50대 이후 심한 통증과 함께 모든 방향에서 어깨가 굳는 질환으로 스스로 어느 방향으로도 팔을 올릴 수 없고 남이 올려주려고 해도 어깨가 굳어 안 올라가는 능동적, 수동적 운동장애가 발생한다.
하지만 회전근개 파열은 아프지만 본인이 어느 정도 팔을 올리는 것은 가능하고 남이 팔을 올려주면 올라가는 것이 오십견과 다르다. 또한 팔에 힘이 빠져 잡은 물건을 떨어뜨리거나 팔을 들었다가 내리는 동작에서 팔이 힘없이 툭하고 떨어지는 증상이 있을 수 있다.
민슬기 연세스타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퇴행성 변화로 인한 회전근개 파열은 한 번에 힘줄이 ‘싹둑’하고 끊어지기보단 서서히 틑어지듯 시작하여 파열 부위가 광범위해질 수 있으므로 초기에 구체적인 증상이 없어도 어깨에 통증이 생기거나 움직임의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고 당부했다.
회전근개 파열이 심하지 않다면 우선적으로 주사치료나 약물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여 염증과 통증을 가라앉히며 경과를 살펴보지만 파열이 심한 경우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봉합술을 진행한다.
또한 최근 회전근개 질환의 PRP 치료가 안정성 및 유효성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로의 허가를 득해 주목된다. PRP(Platelet Rich Plasma, 자가 혈소판 풍부혈장) 치료는 혈액에서 혈소판을 분리하여 성장인자를 추출하고 손상된 부위에 주입하면 해당 조직의 재생 및 염증 완화를 도모하는 치료를 말한다.
환자의 자가 혈액에서 채취, 추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시술이 비교적 간편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PRP를 미주입한 군에 비해 재파열율이 낮고 수술 후 통증이 감소하여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해졌다.
민슬기 연세스타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회전근개 파열은 치료 후 또다시 어깨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재파열의 가능성이 있고 통증이 재발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은 피하고 관절운동과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끝>
(사진/민슬기 연세스타병원 정형외과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jjo613 ojjo613@naver.com
<저작권자 © 굿모닝경찰소방미션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